ⓢ Buddhabhmi(stra) .
1권 .
K-460, T-680 .
당나라 때 현장(玄?)이 645년에 홍복사(弘福寺)에서 번역하였다 .
줄여서 『불지경』이라고 한다 .
보살의 10지 가운데 제10 불지(佛地)를 중심으로 대각지(大覺智)의 5종 법상(法相)에 대하여 설한 경전이다 .
이 경전은 현장스님이 인도에서 귀국한 지 1년 후의 번역으로서 가장 초기의 번역에 속한다 .
부처님께서 최승광요칠보장엄장(最勝光曜七寶莊嚴場)에 계실 때, 묘생(妙生)보살에게 대각지를 포섭하는 5가지 법인 청정법계(淸淨法界) · 대원경지(大圓鏡智) · 평등성지(平等性智) · 묘관찰지(妙觀察智) · 성소작지(成所作智)에 대하여 설하신다 .
여래의 청정법계란 비유하면 허공과 같아서, 허공이 여러 색(色)의 여러 가지 상(相) 가운데 두루 가득하여 말로 다 할 수 없는 여러 상(相)을 지니지만 그 체(體)는 다만 한 맛[一味]인 것처럼, 여래의 청정법계는 여러 가지의 상류(相類)에 두루 하지만 그 체는 일미(一味)인 것이다 .
여래의 대원경지란 둥근 거울에 의지하여 처(處) · 경(境) · 식(識)의 여러 모습이 비치는 것을 말한다 .
여래의 평등성지란 10종의 상(相)을 원만하게 성취하여 여러 상의 증상희애(增上喜愛)를 증득하는 것으로, 평등지를 원만하게 성취함으로써 이상(異相) 비상(非相)을 멀리 떠나 중생들이 기뻐하는 바에 따라 시현(示現)한다 .
여래의 묘관찰지란 비유하면 세계가 중생계를 유지하는 것과 같이 일체의 다라니문(陀羅尼門) · 삼마지문(三摩地門)을 맡아 보존하고, 걸림 없이 여러 부처님들의 묘한 법문을 변설하는 것을 말한다 .
이러한 묘관찰지는 여러 가지로 바라밀다와 보리분법(菩提分法)을 장엄한다 .
여래의 성소작지란 중생들의 신업(身業)을 권장하는 것과 같이, 여래의 소작지를 이루어 몸을 권장하여 업을 변화시키고, 좋은 방편을 가지고 중생이 성스러운 가르침에 들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
또 묘생보살이 어떤 보살이 화합일미사지(和合一味事智)를 수용하는지 여쭈자, 부처님께서 만일 보살이 무생법인(無生法忍)을 증득하지 못하면 결국 평등심(平等心)과 평등사(平等捨)를 얻지 못하여 2승(乘)과 차별이 없다고 설하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