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atnameghastra .
10권 .
K-133, T-660 .
당(唐)나라 때 달마유지(達磨流支, Dharmaruci)가 693년에 불수기사(佛授記寺)에서 번역하였다 .
별칭으로 『현수불퇴전보살기(顯授不退轉菩薩記)』라고도 한다 .
범본은 전하지 않으나 『집보살학론(集菩薩學論)』에 일부 인용되어 있으며, 보살이 닦아야 할 불도의 내용과 보살의 덕목에 대하여 설한 경전이다 .
지일체개(止一切蓋)보살이 부처님께 보시 등을 갖출 수 있는 법과 보살이 위없는 평등한 깨달음을 속히 증득하는 법 등의 101가지를 질문 드리자, 부처님께서는 법을 베푸는 법시 · 두려움이 없는 무외시 · 재물을 베푸는 재시 · 바라는 것 없는 무희망시 · 너그럽고 불쌍히 여기는 자민시 · 가볍게 여기지 않고 교만하지 않는 불경만시 · 공경시 · 공양시 · 의지하는 바 없는 무소의시(無所依施) · 청정시 등의 10법을 갖춘 보시바라밀을 비롯하여, 계율을 원만히 닦는 계(戒)바라밀 · 욕됨을 참는 인(忍)바라밀 · 수행함에 있어 동요하지 않고 꾸준히 하는 정진(精進)바라밀 · 마음을 안정하는 정려(靜慮)바라밀 · 중생을 제도하는 지혜를 닦는 반야(般若)바라밀 · 중생들을 부처님 법으로 이끄는 방편선교(方便善巧)바라밀 · 모든 중생들을 불도에 들게 하겠다는 서원을 굳게 세우는 원원만력 바라밀 · 지혜를 닦는 데 온갖 힘을 다 기울이는 역(力)바라밀 · 세상의 모든 것을 낱낱이 아는 지혜를 갖는 지(智)바라밀 등의 10바라밀을 설하신다 .
또 부처님께서는 보살이 갖추어야 할 덕목을 땅에 비유하여 10법으로 말씀하시는데, 그 10법은 넓고 커서 한량이 없고, 은혜와 원수를 모두 여의고, 큰 법의 구름과 비를 널리 받을 수 있으며, 중생이 의지하는 곳이 되며, 큰 보배의 그릇과 같고, 큰 약그릇과 같으며, 기울거나 움직이지 않고, 놀라거나 무서워하지 않는 것이다 .
그리고 부처님께서는 보살이 머무는 곳은 탁발 다니기에 알맞도록 마을에서 너무 멀리 떨어지지 않은 조용한 숲 속에 정해야 하고, 보살의 의복은 교만심을 없애기 위해 남들이 입다가 버린 옷으로 누더기 옷을 지어 입어야 하며, 보살은 중생들이 보살을 섬기게 함으로써 그들에게 복덕을 쌓게 해야 한다고 말씀하신다 .
이처럼 부처님께서는 보시 등의 10바라밀을 갖추는 것이 빨리 위없는 평등한 깨달음을 증득하는 길이라고 강조하신다 .
이 경은 일반에 널리 유통되었으며, 이역본으로 『보운경(寶雲經)』 · 『제개장보살소문경(佛說除蓋障菩薩所問經)』 · 『대승보운경(大乘寶雲經)』이 있으나 『대승보운경』은 현재 전하지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