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역사는 발전하는가

요즈음 서민들은 다들 죽겠다고 아우성이다. 경제가 어렵다는 이야기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닌데 정부가 내놓은 처방이 잘 듣지 않는 모양이다. 며칠 전에 만난 외국 화장품 수입업을 하는 친구도 자기들의 주고객이 중 상류층인데도 상당히 영향이 있다고 한다. 이런 경제적 상황과 무관한 것은 아니지만 나라 안은 온통 시위중이다. 쌀 개방을 반대하는 농민 단체들은 연일 과격한 모습을 보이고, 국가 보안법 폐지를 두고 여야의 연장선에서 불은 계속 번져간다. 과거 친일 행위자들을 가려내어 청산을 하겠다고 칼을 뽑아든 정부 여당에 야당 당수는 모든 것을 걸고 투쟁하겠다고 한다. 행정수도가 언제쯤 이전될지 모르지만 국론은 갈기갈기 찢어져 가고 있다. 어쩌면 집권층에서 국민을 이간질하고 싸움을 붙이는 것처럼 보인다. 조그만 반도국가가 남북으로 나뉜 것도 서러운데 그 안에서 또 분열되는 모습을 보니 안타깝기 그지없다.

지금 우리의 역사는 발전하고 있는가. 아니면 순환과 몰락을 향해 가고 있는가. 어떤 역사 학자들의 사상과 논리가 이 시대 우리 역사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될까. 19세기 전반을 살았던 독일의 철학자 헤겔(Hegel)은 변증법과 이성주의를 강조하였다. 세계를 현실과 이성의 일치라고 본 그는 절대적이고도 유일한 방법인 변증법에 의하여 전개되는 세계를 이성적으로 추구하였다. 18세기 칸트(Kant)로 대표되는 계몽사상의 한계를 통찰하고 ‘역사’가 지니는 의미에 중점을 두어 19세기 후반 이후 국가주의,역사주의의 길을 열었다고 생각된다. 현실이란 인간이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역사과정은 오히려 그 자신의 법칙에 의해 필연적으로 정해져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의 철학의 전체를 일관하는 방법이 모든 사물의 전개를 정(正), 반(反), 합(合)의 3단계로 나누는 변증법이었으니 우리의 현대사도 그간의 ‘우향우(右向右)’ 편중에서, ‘좌향좌(左向左)’로 갔다가 언젠가 다시 ‘합(合)’의 단계인 ‘중도(中道)’로 돌아오면서 계속 발전할 것인가.

아니면 20세기를 살면서 역사의 발전에서 ‘순환과 몰락’을 강조한 영국의 토인비(Toynbee)의 주장을 따를 것인가. 그는 ‘역사의 연구’를 통해 문명의 발생에서 소멸까지의 과정을 5단계로 비교연구 하면서 문명의 발달과 몰락에는 규칙적인 주기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문명의 성장이란 문명을 선도하는 창조적 소수자가 그 문명이 직면한 문제를 창조적으로 해결해 가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런가 하면 역사를 경제적 영향력이 아닌 정신적 영향력에 의해 구체화된다고 하는 것을 믿는다면 지금의 우리 역사는 어려운 상황으로 가는 것인가.

과학을 비롯한 물질문명이 발전하여 생활이 편리해진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편리해진 것과 인간의 행복을 향한 삶의 질이 향상된 것은 다르다. 물질보다는 정신문화에 바탕을 둔 종교나 철학, 예술의 바탕 위에 새로운 역사를 써야할 것이다.

무엇보다 먼저 국민이 불안하지 않게 이해와 설득이 이루어진 후에 모든 정책을 펴는 게 좋겠다. 우리의 역사는 계속 발전하고 있다는 신념을 갖도록.

김형춘 글. 월간반야 2004년 10월 제47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