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리와 상식

옛 성현의 말씀에 ‘하늘의 뜻을 따르는 자는 살아남을 것이요, 하늘의 뜻을 거역하는 자는 망하리라(順天者存 逆天者亡)’고 하였다. 이게 어찌 꼭 하늘의 뜻이라고만 하겠는가. 사물의 이치에 순응하라는 삶의 지혜를 강조한 말씀이리라.

이처럼 ‘이치에 순응하는 것’을 우리는 ‘순리(順理)’라고 말한다. 그래서 우리는 순리대로 살아야 한다거나 순리대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사는 것이 순리대로 사는 것일까. 먼저 사람으로서의 ‘도리(道理)’를 다하는 것이다. 인간으로서의 기본적인 윤리와 도덕에 충실한 삶의 태도를 취하는 것이다. 이것은 고매한 인격과 심오한 학식에 바탕을 둔 삶이 아니다. 한 인간으로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상식에 입각한 삶을 요구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천리(天理)’를 따르는 것이 이치에 순응하는 것이라고 본다. ‘천리’란 하늘의 이치이기도 하지만 자연계의 이치라고 하겠다. 우리가 인지하는 자연계의 모든 현상에는 원리나 법칙을 벗어난 것이 단 한가지도 없다. 바람이 불고, 구름이 떠가고, 눈보라가 치고, 나뭇잎이 떨어지고, 꽃이 피고, 열매가 익어가는 등 그 어느 하나도 자연계의 법칙을 벗어난 것은 없다. 도도히 흐르는 강물을 거슬러 올라가 보라. 쏟아지는 폭우를 막아 보라. 자연의 이치를 거역하며 산다는 것이 진실로 가능한지를.

끝으로, 신의 ‘섭리(攝理)’를 따르는 것이 순리일 것이다. 인간이 스스로를 발견하는 것 중에 중요한 하나가 인간능력의 한계를 깨닫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영원과 한계상황에 부딪쳤을 때에 능력의 한계를 깨닫고는 신의 존재를 인정하고 종교에 귀의하는 경우 또한 많다. 신의 섭리란 신이 이 세계를 지배·소유하면서 인간 구제의 목적으로 영원한 계획에 의하여 인도하는 질서를 말함이니, 영원의 차원에서 이 질서를 거역할 수 있는 명분 또한 찾기 어렵다.

그러나 도리(道理)도, 천리(天理)도, 섭리(攝理)도 가장 인간적인 바탕 위에서 상식의 한계에서 따를 수 있으리라.

김형춘 글/ 월간반야 2001년 1월 (제2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