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지인들 중에는 자폐증 자녀를 두고 고민하면서 아무래도 집에 그냥 둘 수 없어 마땅히 아이 맡길만한 곳을 찾아 드러내놓고 말은 못하면서도 전국적으로 수소문을 펴는 이가 있었다. 또 어떤 친구는 이곳저곳에 위탁해 보았지만 마음이 편치 않아 마지못해 집에 데리고 있는 이도 있었다. 가끔씩 들르는 복지시설의 원장으로부터 들은 이야기다.
이곳은 주로 선천성뇌성마비 아이들을 수용하고 치료도 해주면서 재활교육까지 하는 곳이다. 주로 보호자의 부탁으로 양육하고 있으니 가끔 명절 때는 집에 보내기도 한단다. 본인이 집에 가서 가족들과 설이나 추석을 지내고 싶다하면 가족에게 연락하여 집에 데려가서 2,3일 쉬었다가 오는데 한번 다녀온 아이들은 다음 명절에는 절대 집에 가지 않겠다고 한단다. 모처럼 가족 친지들이 모이는 명절에 집에 갔지만 자기는 골방 구석에 감금(?)하다시피 해놓고 음식만 넣어주고는 거들떠보지도 않고, 오히려 다른 사람들의 눈에 띌까봐 즐거운 명절의 분위기를 깰까봐 두려워(?)하는 가족들의 분위기를 보고 와서 다시는 명절에 집에 가지 않겠다고 한다는 것이다. 이 시대 우리 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의식의 한 단면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요즈음 지상파 방송 중 KBS의 ‘KBS 스페샬’, SBS의 ‘스타 킹’ , EBS의 ‘다큐프라임’ 등에서 ‘서번트 신드롬(savant syndrome)’ – 서번트 증후군- 이나 이와 유사한 내용의 프로그램이 방영되면서 누리꾼이나 일반인들의 관심이 대단한 것 같다. 자폐증 환자나 교통사고 등 장애를 입은 사람, 맹인이나 청각 장애자 등에서 인간 뇌의 신비로운 능력을 발견한 것이다. 대개 이들에겐 왼쪽 뇌에 문제가 있는데 반해 천재적 능력은 오른쪽 뇌가 담당한다고 한다. 그런데 인간의 자정적 균형감각을 유지하기 위한 본능적 의지 때문에 왼쪽 뇌의 부족 분을 오른쪽 뇌의 능력을 극대화시켜서 평범한 사람은 할 수도 없는 능력을 발휘한다는 것이다.
태어날 때부터 자폐증을 보인 영국의 화가 ’스티븐 윌셔‘의 이야기나, 어릴 때 나무에서 떨어져 뇌 손상을 입은 ’알론조‘이야기, 우리나라의 뇌수종 시각장애 7살 ’지민‘이의 이야기는 우리를 놀라게 한다. 6개월만에 태어난 지민이는 아기 때 뇌수종을 앓았고 시각장애로 악보를 볼 수도 없었지만 1년 남짓 피아노를 배웠는데, 그 후론 어떤 연주든 한번 들으면 그대로 기억해 피아노를 연주해낼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모든 자폐증 환자가 다 서번트 증후군을 가진 것은 아니다.
이 분야 연구의 권위자인 미국 위스콘신대학의 ’대럴드 트레퍼트(Darold Treffert)교수는 자폐증 환자 10명 중 1,2명 꼴로 천재성을 가진 사람이 나타난다고 하니 결코 적은 수는 아니다. 지금껏 우리 사회는 자폐증을 비롯한 장애인 자녀를 둔 것을 부모 스스로가 부끄럽게 생각하여 사회와 격리시켜온 게 사실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많은 천재적 재능을 가진 사람의 천재성을 사장해 버린 셈이다.
이즈음의 교육 추세는 어떤 분야에서든지 ‘남보다 다른, 남보다 뛰어난, 남이 할 수 없는,…’ 그런 재능을 발견하여 개발해 주는 것이 강조된다. 모든 인간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음악적, 신체 운동적, 논리 수학적, 언어적, 공간적, 대인 관계적, 자기 이해적, 자연 탐구적 지능’을 가지고 있는데 이 8가지 지능이 합해져서 독특한 방식을 가진 한 인간을 형성한다는 ‘하워드 가드너(Haward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에 관심을 갖는 것도 이 때문이다.
조물주가 인간을 만들어 낼 때도 ‘총체적 인간 지능 – 능력’은 비슷하게 만들었을 것이다.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이처럼 천재성을 부여한 것 자체가 고통을 뛰어넘게 하는 신의 선물이 아닐까.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인간 뇌의 신비함만큼이나 인간의 능력 또한 얼마나 잠재되어 있을까. 문제는 남들보다 뛰어난 지능이 아니라 자신이 가진 지능 중에서 다른 지능보다 뛰어난 것을 찾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