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어 달 전 전국에 흩어져 있는 대학 동창생들 백여명이 한자리에 모일 기회가 있었다. 대부분이 교단을 지키는 친구들이었다. 이날 의례적인 인사말을 마치면서 이런 말을 한 기억이 난다. “교단을 떠나는 그 날까지 초심으로 돌아가 떳떳하게 교단을 지키다가 명예롭게 정리하도록 고민하자. 곱게 늙어 가는 방법을 찾아보자. 끝으로 건강하고 즐겁게 여생을 살도록 노력하자.”
사실 내가 하고 싶은 말은 이미 지나간 세월은 다 잊어버리고 현재와 미래를 어떻게 살 것인가를 이야기하고 싶었다. 이미 흘러간 물로는 물레방아를 돌릴 수 없다. 지난날 어리석고 무지하고 게을렀던 삶을 살았기로서니 지금 그것 때문에 고민할 필요는 없다. 그 고민으로 흘러간 세월을 돌이킬 수 없을 뿐 아니라, 흘러간 물이 다시 오지도 않는다. 슬프든지 억울하든지 분하든지 과거는 과거로 묻어 버리고 오늘은 오늘로서 살아야 한다.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방편이야 많이 있겠지만 과거의 실수와 씨름하지 않는 것 만으로도 우리는 훨씬 행복해 질 수 있을 것이다. 떳떳하게 명예를 지키면서 사는 것도 중요하지만 노년을 향하는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하고 즐겁게’라고 생각한다. 올해 들어 주위의 가까운 친구 중에 아내가 갑자기 쓰러져서 병원 신세를 지고 있는 이가 둘이나 있다. 엊그제는 8월말이면 정년을 하는 선배의 문병을 다녀왔다. 다들 생활이 말이 아니다. 자녀들은 장성하여 자기 삶을 찾아 따로 살기에 부부만 살다가 한쪽이 병원에 누워있으니, 집안 살림이나 직장생활, 사회생활 모두가 엉망이다. 얼마 전 근 이십 년을 형으로 모신 분이 상처를 한 뒤 가까스로 몸을 추스르고 모임에 나오셔서 하는 말씀 중 “노년의 행복은 부부가 더불어 건강한 것”이라는 뜻을 이제사 주변 친구의 모습을 보면서 확인한 셈이다. “왜, 진작 좀”하는 후회는 무지와 미련함과 무관심에 밀려 지금의 어려움에 이른 것이다.
사실 그 보다 더 본질적인 문제는 ‘남을 배려’ 할 줄 모르는, 아니 특히 ‘가까운 사람에 대한 배려’가 부족했다는 점이다. 남이나 이해관계가 있는 사람에게는 신경을 쓰고 배려하면서, 가까이 있는 식구에게는 좀 모자라고 함부로 해도 이해해 주리라는 알량한 믿음 때문이었던가.
나는 우리교육의 문제점도 단적으로 ‘기초ㆍ기본교육의 소홀과 남을 배려하는 마음의 결여’라고 생각한다. 언제나 상투적으로 하는 말처럼, ‘늦은 감은 있지만’ 남을 배려하는 마음가짐을 갖도록 해야 한다. 사회는 아직도 이기적이고 타산적이며, 형식과 권위와 체면을 찾는다. 이제는 밖으로 나돌던 나를 불러들여야 할 때다. 남을 배려하되 가까이 있는 사람, 진실로 나의 행복을 더불어 같이 할 사람들에 대한 배려의 절실함을 깨달아야 한다.
김형춘 글. 월간반야 2004년 7월 제4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