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에서 미사일 찾는 DSP위성

최근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된 뉴스를 보다 보면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인공위성이 있다.

바로 미사일을 감시하는 인공위성인 하늘의 눈 DSP 위성이 그것인데 사실 DSP 위성은 하나의 인공위성을 말하는 것은 아니고 Defense Support Program 이라는 단어가 의미하듯이 미국의 영토를 방어하는 일종의 지원 위성 네트워크를 말한다.

DSP 위성은 1970년대 미국의 조기경보위성에서부터 붙여지기 시작했는데 현재에는 18호에서 23호까지 약 6기의 조기 경보 위성이 운용되고 있다.

DSP 위성의 주 임무는 지구 전역에서 미국을 향해 발사되는 대륙간 탄도미사일의 발사를 감지하는 것으로 각각의 DSP 위성은 지구의 정지위성 궤도에 위치하고 있어 지구 전역을 감시할 수 있다.

DSP 위성은 지상에서 대륙간 탄도 미사일이나 로켓이 발사되면 발사후 남게 되는 로켓의 구름 기둥에 남아 있는 열이나 이산화탄소, 수증기의 급작스러운 증가 여부를 감지하여 미사일 발사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안정된 대기 상태에서 급작스러운 수증기 밀도가 증가 되었다면 미사일이나 로켓이 발사 되었다고 판단하게 된다.

DSP 위성의 임무는 23호를 마지막으로 종료하게 되고 이후에는 SBIR(Space Based Infra Red Sensor) 위성 시리즈가 그 임무를 맡게 될 예정이다.

우주에서 뛰어내리는 스카이다이빙

2008년 북경올림픽 개막식.

중국 스카이다이빙 팀은 창공을 날던 비행기에서 뛰어내려 멋진 묘기를 부리며 운동장에 내려앉는다.

4년 뒤 2012년 런던올림픽 개막식.

이번에도 스카이다이빙 팀이 하늘에서 멋진 묘기를 부리며 운동장에 내려앉는다.

하지만 이들이 뛰어내린 높이는 100km.

우주에서의 다이빙이다.

이들의 다이빙은 어떻게 이뤄질까.

다이버는 선실의 문이 열리면 바로 우주가 나오는 ‘개방형 우주선’을 타고 100km 상공의 우주로 향한다.

다이버는 이곳에서 지구로 뛰어내린다.

2분도 되지 않아 다이버의 속도는 시속 4025km에 이른다.

이때의 높이는 약 32.5km로 대기권에 진입하는 유성이 타기 시작하는 84km를 지난 지 오래다.

다이버의 우주복 온도는 240°C까지 오르게 된다.

30km 상공을 지날 때부터 다이버는 몸을 활짝 펴 공기의 저항을 이용해 속도를 줄인다.

이때 느끼는 압력은 중력의 4.4배(4.4G)로 약 30초 동안 이를 견뎌야 한다.

다이빙 뒤 3분 20초가 지나면 다이버는 시속 193km의 속도로 10km 상공을 지나게 된다.

어쩌면 이때쯤 다이버는 안도의 한숨을 내쉴 수도 있다.

다이버는 900m 상공을 지날 때 낙하산을 펴고 천천히 지면으로 향한다.

이때는 다이빙 뒤 7분 20초가 지날 무렵이며 10분 쯤 되면 다이버는 지면에 착지하게 된다.

우주에서 뛰어내리는 스카이다이빙은 미국 우주관광 업체 ‘오비탈 아웃피터스’가 추진하고 있다.

이 다이빙을 위해 극복해야할 문제는 3가지다.

먼저 공기가 거의 없어 압력이 낮은 우주에서는 다이버가 ‘잠수병’에 걸릴 수 있다.

잠수병은 스쿠버 다이버가 깊은 바다에서 갑자기 수면으로 올라올 때 혈액의 수분이 기체로 변해 몸에 통증을 유발하거나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하는 증상이다.

우주 다이버들도 압력이 낮은 우주에서 이와 같은 위험에 노출된다.

대기권에 진입할 때 공기의 마찰로 인해 표면 온도가 올라가는 것도 문제다.

시속 4025km가 넘는 속도로 진입하는 다이버는 240°의 온도를 견뎌야 한다.

음속을 돌파할 때 생기는 충격파인 ‘소닉붐’도 피해야 한다.

다이버가 떨어지면 다이버 주변의 공기가 밀려나며 압력 차이에 따른 파동이 생긴다.

이 파동은 소리의 속도로 퍼지는데 다이버가 음속을 돌파하는 순간 파동 여러 개가 뭉쳤다 흩어지며 강한 충격파가 발생하게 된다.

충격파는 단단한 표면의 안으로 파고들어 피해를 줄 수도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가장 절실하다.

실제로 미국 왕복우주선 콜롬비아호가 공중에서 폭발했을 때 단단한 상자 안에 들어있던 임무수행 지시서가 찢어지고 구멍이 뚫리는 일이 발생했다.

당시 미국항공우주국은 단단한 상자를 통과하던 2개 이상의 충격파가 겹치며 파손됐을 것이라 추측했다.

오비탈 아웃피터스사는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우주 스카이다이빙 장비를 개발하고 있다.

다이버가 입을 우주복은 헬멧, 장갑, 장화가 부착된 일체형이 될 예정이다.

바깥과 공기가 차단되기 때문에 내부 압력을 유지해 스카이다이버의 잠수병을 예방하게 된다.

또 우주복 안에는 액체가 순환하며 온도를 낮추는 냉각장치를 설치해 우주복이 타는 문제도 해결하게 된다.

이외에도 무중력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는 소형 가스분출기와 낙하 중 회전하는 것을 막기 위한 보조낙하산도 장착된다.

오비탈 아웃피터스사는 2009년까지 기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우주복을 개발해 그해 말 36.6km 상공의 우주선에서 지구로 뛰어내리는 스카이다이빙을 실시할 예정이다.

다이빙이 성공하면 이를 토대로 충격파 흡수나 이산화탄소를 산소로 바꾸는 공기정화장치 등을 추가해 2011년에 100km 상공의 다이빙에 도전하게 된다.

2012년, 런던올림픽 경기장에 착륙할 우주 스카이다이버를 실제로 볼 수 있을 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