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에서 찍은 사진을 어디에 사용할까요

수 많은 인공위성 중에서 지구를 촬영하는 인공위성이 있다.

지금도 지구 주위를 돌며 지구를 쉴새 없이 촬영하고 있다.

과거 열기구나 비행기를 사용하던 방식과는 달리 인공위성을 이용하면 원하는 지역의 도로, 건물 등을 불과 1-2분만에 촬영할 수 있다.

이렇게 촬영한 사진들은 과연 어디에 사용하고 있는지 아리랑 2호를 통해 알아본다.

첫째, 우리나라 국토를 모니터링 하는데 사용된다.

국토전반의 토지이용 과 변화에 대해 조사하는 일은 막대한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대도시 지역에 있어서는 짧은 기간 동안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일정한 기간 동안 일어난 변화를 조사하는 일은 대단히 어렵다.

우리 국토는 농지, 산림, 산업지역, 도시 등으로 활용되는데 그 면적과 내용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위성사진을 통해서 국토(농지, 산림, 도시지역 등)의 변화를 분석해 낼 수 있다.

둘째, 지도를 만드는데 사용한다.

접근하기 힘든 지역의 지도를 만들고 기존 지도를 수정하고 입체지도나 영상지도 등을 만드는데 활용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지도는 우리나라의 지리정보시스템을 만드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셋째, 각종 재해 평가와 예방에 활용된다.

산불, 폭설, 눈사태, 홍수, 지진 등으로 인한 피해 규모 파악과 대책 수립에도 정보를 제공하며, 산사태 지역을 정기적으로 감시하여 지표의 변화가 탐지 될 경우 사전에 경고하여 산사태 예방에 활용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농업, 어업, 임업 등에도 많은 도움을 준다.

농작물 생산량 및 작황상태, 산림 및 어자원 분포 정보를 신속히 제공함으로써 국민 소득 증대에 기여한다.

황금주식

황금주식

황금주식(Golden Shares)이란 80년대 유럽 국가들이 전략적으로 중요한 공기업을 민영화하면서 외국자본으로부터 경영권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로, 민영화 이후에도 이사회 결정을 뒤집을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 특별주식을 말한다.

특히 영국은 자국기업 보호를 위해 아직도 26개의 황금주식 협정을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