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센터’하면 단순하게 로켓을 발사하는 장소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우주센터는 우주 개발을 주도하는 곳으로, 우주 개발과 관련된 많은 일들이 이 곳에서 일어난다.
미국은 케네디 우주센터, 케이프 커내버럴, 존슨 우주센터, 에임스 연구센터, 마샬 우주비행센터, 제트추진 연구소,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스테니스 우주센터 등 6~7개의 연구소와 우주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우주개발을 위한 다양한 로켓들가 이곳에서 운영 및 발사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도 다네가시마 우주센터, 츠노다 우주센터, 츠쿠바 우주센터, 우치노우라 우주센타, 카고시마 우주센터 등 현재 5개의 우주센터를 운영중이고, 중국도 주취안 우주센터, 시창 우주센터, 타이위안 우주센터, 원창 우주센터 등 4개의 우주센터를 통해 우주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도 우주개발에 있어 다른 나라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서는 다양한 궤도로 다양한 목적의 로켓을 쏘아 올릴 수 있는 우주센터가 필요할텐데, 우주센터를 만드는것은 생각만큼 쉽지 않다.
우주센터는 만들고 싶은 아무 곳에서나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로켓을 성공적으로 발사하기 위한 다양한 입지 조건들을 만족시켜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주센터가 들어서기 위한 그 조건은 어떤것이 있을까?
첫째, 해당 우주센터에서 발사할 인공위성의 성격 및 궤도에 있다.
만약 쏘아 올릴 위성이 높은 궤도를 가지는 정지위성의 경우에는 적도에 가까운 곳일수록 유리하다.
정지궤도위성의 궤도는 고도 약 36000km로, 1000km 이내의 저위도 위성보다 훨씬 더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지위성을 발사할때는 지구자전속도의 힘을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는 적도지방에서 동쪽으로 위성을 발사하는것이 가장 좋다.
만약 자국에서 정지위성을 발사하려고 한다면 해당 국가의 영토 가운데 가장 저위도인 곳에 우주센터를 만드는 것이 유리하다.
하지만 저궤도 지구의 남쪽에서 북쪽으로 회전하는 궤도를 갖는 저궤도 위성의 경우에는 적당한 위도에서 남쪽이나 북쪽방향으로 발사하면 된다.
우리나라의 나로 우주센터에서 발사할 로켓은 고도 1,000km 이내의 저궤도 과학위성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전남 고흥 외나로도에 위치하게 된 것이다.
우리나라 발사체인 나로 로켓은 발사후 동쪽이 아닌 남쪽을 향해 발사하게 된다.
둘째, 기상조건이다.
우주센터는 기본적으로 로켓을 발사하는 곳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기후나 기후 변화가 적은 곳이 유리하다.
장거리 우주 탐험을 위해 천문학적인 비용을 들어 개발한 로켓과 인공위성이 발사전 갑작스러운 낙뢰나 태풍으로 인해 고장이 난다면 그 동안의 수고가 한순간 물거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우주센터는 로켓의 예정 비행 경로 18㎞이내에 낙뢰 및 뇌우가 없어야 하며.
또 발사 15분 전 고도 약 9km 상공의 전압계강도가 1㎸/m 이내이어야 한다.
또한 발사시 로켓의 비행 경로상 구름의 속도도 12.35m/sec 이내어야 한다.
이런 발사전 또는 발사후 필요한 기장 조건들이 다양하기 때문에 이런 기상 조건을 갖는 곳을 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아무곳에 우주센터를 세울 수 없다.
셋째, 발사한 로켓의 안전성이다.
로켓은 지구의 대기권을 뚫고 우주로 나가야 하기 때문에 2단 내지는 3단분리를 하며 비행한다.
보통 3단 로켓의 경우 1단 50km, 2단 500km, 3단 3,500km 상공을 지나며 로켓의 분리가 이루어 지는데, 이때 분리된 로켓 낙하물들이 사람들이 사는 도심상공에 떨어지게 되면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로켓 각 단의 모든 분리는 사람이 살지 않는 곳에서 이루어 져야 한다.
또 발사된 로켓이 발사 직후 추락할 경우 지상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최소 반경 1,2km의 안전 구역이 확보되어야 하며 발사된 로켓의 비행경로 역시 사람이 살지 않는 곳이어야 한다.
넷째는 정치적인 부분으로 우주센터에서 발사된 로켓은 국제법상 발사 이후 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