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가 날아다니는 하늘길은 몇 차선일까

자동차가 다니는 도로는 왕복 2차선부터 통행량이 많은 곳에는 왕복 16차선까지 다양하다.

그렇다면, 비행기가 다니는 하늘길은 어떨까? 비행기가 다니는 하늘길도 오가는 길이 따로 정해져 있고 통행량이 많은 곳이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비행기가 날아다니는 항공로도 자동차 도로처럼 여러 차선으로 이뤄졌을까?

정답부터 말하자면 ‘그렇다’이다.

자동차 도로는 두 지점 사이를 연결하는 길과 일정한 폭을 가진 면(面)으로 구성돼 있으나 대부분은 하나의 층으로 돼 있다.

반면 항공로는 공항과 공항 사이를 연결하는 하늘길과 일정한 폭(幅)을 가지며, 도로와는 달리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사각형으로 상자모양을 한 터널처럼 돼 있다.

비행기도 자동차처럼 출발 공항에서 목적 공항까지 여러 개의 차선, 즉 항공로를 이용할 수 있다.

또 같은 항공로를 이용할 때는 비행기끼리 출발시간을 달리하기 때문에 서로 겹치지 않고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다.

그렇다면 항공로는 어떻게 결정되는 것일까?

우선 우리나라 항공로의 최저 비행 고도는 약 8000피트(약 2438미터)다.

따라서 그 이상의 고도에서만 항공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항공로의 차선 즉, ‘비행층수’는 비행기가 비행하고자 하는 비행방향으로 결정된다.

지구자기장의 북극인 자북(磁北)을 기준으로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향하는 비행방향이 0~179도 안에 포함되면 보통의 경우 8000피트 이상 1000 피트 단위의 홀수고도에서 비행하고, 180~359도까지는 1000피트 단위의 짝수고도에서 비행하도록 정해져 있다.

김포공항에서 제주공항으로 비행하는 비행기를 예로 들어보자.

김포에서 출발하는 항공기가 항공로를 따라 비행할 경우 자북을 기준으로 하면 비행방향이 약 190도 정도다.

이 경우 2만 피트, 2만 2000피트, 2만 4000피트 순으로 1000피트 단위의 짝수고도로 비행하게 된다.

반대로 제주공항에서 김포공항으로 항공로를 따라 비행하는 경우 비행방향이 약 10도 정도가 돼야 하기 때문에 2만 1000피트, 2만 3000피트, 2만 5000피트 순의 1000피트 단위의 홀수고도에서 비행한다.

하루에도 수천 대의 항공기가 안전을 위해 질서정연하게 비행한다.

이는 지상의 도로와 마찬가지로 하늘의 조종사가 일정한 교통규칙을 지켜 운항하기 때문이다.

만약, 비행기가 정해진 항로를 따르지 않고 조종사가 원하는 대로만 운행한다면, 자동차 교통사고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대형의 인명·재산 피해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비행기 조종은 그야말로 엄격한 규정과 지시의 준수가 필수적이다.

글 : 푸른하늘 편집부 도움말 : 안진섭 국토해양부 항공교통센터 관제기획계장

2010년 1월 28일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