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우주정거장(ISS)

1961년 유리 가가린이 첫 우주여행을 시작한 후 인류는 지금까지 2백여 차례나 넘게 우주를 넘나들어 왔다.

우주를 정복하기 위한 인간의 끊임없는 욕구는 우주개발의 한계를 극복하는 우주정거장을 구상하게 된다.

우주정거장은 지구궤도에 건설된 대형 구조물로써 사람이 생활을 하면서 우주실험, 우주관측 등 우주 개발에 필요한 임무를 수행하는 곳이다.

최초의 우주정거장인 러시아의 샬루트(Salyut)로부터 시작하여, 미국 최초의 우주정거장 스카이랩(Sky lab), 2세대 우주정거장인 러시아의 미르(Mir)로 이어져 마침내 현재의 국제우주정거장(ISS)가 탄생하기에 이르렀다.

현재 많은 임무를 담당하는 거대한 우주건축물을 위해 16개의 국가가 같이 참여하고 있다.

미국, 러시아, EU 11개국, 캐나다, 일본, 브라질 등 16개국이 참가하여 2010년 완공을 목표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 국제우주정거장은 우주실험이나 우주관측 우주의 산업적 활용 외에도 우주인의 장기체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달과 태양계의 행성들을 여행하기 위한 연구기지 역할을 하며 훈련기지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더욱 먼 거리의 우주탐사의 길이 열리게 될 것이다.

국제우주정거장은 총 43개의 모듈이 합쳐져 완성된다.

이러한 모듈은 우주공간에서 쉽게 조립하기 위해 지상에서 미리 규격화된 형태로 제작되며 16개 참여 국가들이 이 모듈을 분담해 만들고 있다.

크게 나뉘어 우주비행사의 거주공간과 관련된 모듈은 미국과 러시아가, 실험공간과 관련된 모듈은 미국, 러시아, EU, 일본이 나누어 만들고 있다.

각 나라의 모듈을 보면 국제우주정거장의 전력 시스템과 같은 장치들을 공급해 주는 미국의 유니티(UNITY) 모듈이 있다.

이 외에도 서비스 모듈 별을 뜻하는 러시아의 즈베다(Zvezda)모듈은 2명의 승무원을 위한 수면실, 화장실, 냉장고가 있는 조리실, 안전하게 음식을 먹을 수 있는 테이블이 설치돼 있고, 미국 보잉사에 의해 제작되어 2001년 2월 7일 우주왕복선에 의해 수송된 데스티니 실험 모듈에는 전력, 냉각, 공기정화,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고 공급해주는 5개의 생명 유지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우주비행사들은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실험 모듈 내에서 다양한 과학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또한 캐나다암(Canadarm2) 로봇 팔은 이동공급시스템(MSS, Mobile Servicing System)의 일부분으로써 캐나다가 국제우주정거장 건설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전력시스템(EPS)은 국제우주정거장에서 가장 중요한 전력을 담당한다.

각각의 태양전지판의 길이는 73.2m, 폭은 10.7m, 무게는 15,900kg이며 국제우주정거장이 완성되면 이 8개의 태양전지판은 축구경기장을 덮을 수 있을 만큼의 면적을 가진다.

앞으로 만들어질 우주정거장 모듈에는 일본의 첫 유인 실험 모듈로써 희망이라는 의미를 가진 키보(Kibo) 모듈과 유럽우주청(ESA)에 의해 제작되는 콜럼버스(Columbus) 모듈이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책협력부장 황진영>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