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남극운석탐사 연구 발표가 있었다.
한국해양연구원 부설 극지연구소와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는 10월 29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발표회에서 대한민국 남극운석 탐사와 운석탐사 국제 동향을 주제로 논문을 발표했다.
연구진은 “2006년에서 2007년까지 우리나라 최초로 남극운석탐사를 시작해 현재까지 3번의 운석탐사로 총 29점의 남극운석을 수집했다”며 “25점은 콘드라이트에 속하며 나머지 4점은 분화운석이다”고 밝혔다.
운석은 우주를 떠돌던 암석이 지구 중력에 이끌려 떨어진 것이다.
운석은 크게 태양계가 만들어질 때 생긴 콘드라이트와 소행성 또는 행성의 활동으로 만들어진 분화운석으로 구분된다.
이 중 생성 후 변하지 않은 운석은 태양계 기원 물질과 생성 시기 등을, 변한 운석은 행성의 진화를 아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만약 토성에서 온 운석이라면 이를 분석해 토성에 생명체가 살 수 있는지를 알아낼 수도 있다.
이런 특성 때문에 과학자들은 운석을 태양계 생성과 변화, 행성의 진화 과정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연구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남극은 지구 표면에서 3%를 차지하지만, 지구전체에서 발견된 운석 중 80%가 넘는 2만5000여 개가 남극에서 발견될 정도로 남극에는 많은 운석이 있다.
특히 남극운석은 오랜 세월 빙하 속에 있어 보존 상태가 좋아 연구 자료로 가치가 높은 편이다.
이번에 발견된 운석 중 콘크라이트 2점은 보존 상태가 좋아 태양계 생성과 진화 과정 연구에, 3.7kg의 유크라이트가 포함된 분화운석은 소행성의 진화 과정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009년 11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