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1 / 13
우리가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다양한 값들을 변수에 저장하였습니다. 그런데 프로그램이 종료되고 이후에 다시 이 값을 불러오려면 변수에 저장하는것으로는 부족할 것입니다. 이러한 경우 파일을 이용하여 값을 저장하고 이후에 불러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문서를 만들고 저장하는것도 마찬가지고 이후에 작업한 내용을 가져와서 읽거나 수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번장에서는 파이썬으로 어떻게 파일을 어떻게 다루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일은 크게 경로, 파일명, 파일내용 이렇게 세가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세가지중에 한가지라도 다른경우 같은 파일이라고 할수 없습니다.
파일경로는 일반적으로 윈도우 계열과 리눅스 계열로 나눌수 있습니다. 윈도우는 c, d 등과 같이 드라이브가 있고 이 드라이브 하위에 폴더가 있으며 폴더에 파일이 존재하는 것입니다.
현재 폴더의 드라이브를 가져오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코드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os 모듈을 임포트 해야합니다.
os.getcwd()
현재 폴더의 경로를 가져오는 함수입니다.
os.sep는 운영체제마다 다른 폴더 구분자를 가져옵니다.
현재 드라이브에서 폴더 구분자를 구분된 첫번째 값이 해당 폴더의 드라이브를 나타냅니다.
이번에는 폴더위치를 위해서 폴더경로를 가져오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view\Git\python\example\auto
위의 경로는 리눅스에서는
/view/Git/python/example/auto
이런형태의 폴더로 나타낼수 있을것입니다.
그러면 이러한 폴더경로를 어떻게 만들어내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os.path.join은 현재 운영체제의 패스 구분자로 폴더경로를 만들어주는 함수입니다.
위의 코드를 조금 수정해서 실행하면 아래와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