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온보냉병의 원리, 우주에 있다고

시원한 음료가 생각나는 계절이에요.

산이나 강으로 놀러가서 차가운 얼음을 동동 띄운 주스를 한 잔 마시는 건 어떨까요? 그런데 문제가 있어요.

더운 날씨 때문에 얼음이 녹아버릴 수 있거든요.

얼음을 녹지 않게 가져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럴 때는 ‘보온보냉병’을 이용하면 된답니다.

보온보냉병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도구입니다.

다시 말해서 열이 이동하는 걸 막는 거죠.

열은 항상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데요.

이 현상 때문에 여름에 얼음이나 아이스크림이 녹는 거예요.

바깥 공기에 있는 열이 차가운 얼음이나 아이스크림으로 이동하거든요.

열이 얼음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만드는 보온보냉병의 원리는 무엇일까요? 열은 ‘전도, 대류, 복사’라는 세 가지 방법으로 이동해요.

‘전도’는 주로 고체에서 열이 이동하는 방법인데요.

뜨거운 냄비에 젓가락을 올리면 뜨거워지는 것처럼 고체끼리 맞닿아 있을 때 열이 전달되는 현상이에요.

‘대류’는 뜨거워진 액체나 기체가 위로 올라가고, 차가운 액체나 기체가 아래로 내려오는 거예요.

고체나 액체, 기체가 없이 열이 전달되는 것은 ‘복사’랍니다.

볕이 좋은날 고속도로 위에서 물웅덩이 같은 것이 보일 때가 있다

볕이 좋은날 고속도로 위에서 물웅덩이 같은 것이 보일 때가 있다.

이것은 하늘에서 고속도로로 향하는 빛이 공기의 밀도차에 의해 굴절 현상을 일으켜 빛이 직접 눈에 보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