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위성 사진 어떻게 찍는 것일까

내방에서 보는 우리집의 위성사진 구글어스가 일반화되면서 예전에는 소수의 전문가들만 이용할 수 있었던 위성사진 서비스를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구글어스에 사용되는 위성사진은 지상으로부터 약 600~800km 떨어진 곳에서 촬영된 위성사진으로 해상도는 보통은 1m급(가로세로 각각 1m를 한 개의 점으로 표시하는 수준)이며 주요 지역은 0.6m까지 지원한다.

0.6m를 지도로 표현하자면 1/3,000의 축적을 가진 지도 크기로 동네의 아주 작은 골목길까지 표현할 수 있는 해상도이며, 소형승용차는 물론이고 오토바이와 사람까지도 판독이 가능한 정도의 선명한 해상도다.

참고로 우리나라 최고의 해상도를 가진 아리랑 2호의 해상도는 칼라 4m, 흑백 1m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으며 미국의 군사 위성인 키홀 12호의 경우 15cm의 고해상도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해상도로 찍히는 위성사진..과연 위성은 어떻게 찍는 것일까? 인공위성에서 위성사진을 찍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진다.

그 첫 번째는 우리가 디지털 카메라로 사진을 찍듯이 인공위성 내부에 장착된 광학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는 방식이고 두 번째는 합성개구레이더를 통해 영상을 얻는 방법이다.

첫째, 광학 카메라를 이용하는 방식 보통 위성사진을 촬영하는 인공위성은 지상에서 600~800km 떨어진 고도에서 시속 약 27,000km의 속도로 비행하며 사진을 찍는다.

최초의 위성사진은 1959년 미국의 익스플로러 6호가 지구를 찍은 것이지만, 본격적으로 지구의 모습을 위성으로 촬영하기 시작한 것은 1972년부터 시작된 미국의 랜드셋 프로그램(Landsat Program)부터다.

랜드셋 위성은 1972년부터 1999년까지 랜드셋1호부터 7호까지 전체 6대의 위성이 사용되었는데(랜드셋6호는 궤도 진입에 실패했다.), 현재 5호와 7호만이 운용되고 있고 나머지 위성은 수명을 다한 상태다.

초기 위성사진은 위성내부에 장착된 필름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고, 위성에서 필름이 든 캡슐을 떨어뜨리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이렇게 진행할 경우 다시 캡슐을 수거해 필름을 현상한 다음 필름 스캐너로 스캔을 받아야 했기 때문에 사진을 판독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렸다.

하지만, 1977년 미국의 군사위성인 KH-11호부터 광학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했고, 현재는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 받고 있다.

광학 카메라가 내장된 위성의 해상도는 10m급에서 0.4cm에 이르기까지 해상도가 다양한데 낮은 해상도는 주로 광범위한 지역의 탐사나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한 부분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고해상도로 갈수록 군사용이나 특수 목적으로 사용된다.

광학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은 우리가 사용하는 카메라의 촬영방식과 동일하다.

이는 우리 눈에 익숙한 화면이 촬영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촬영지역에 구름이 끼거나 밤이되면 사진을 찍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

둘째, 합성개구레이더(SAR Synthetic Aperture Rader)를 이용하는 방식 위성영상을 촬영하는 위성들은 정지위성과 달리 특정 궤도로 하루에도 몇 바퀴씩 지구를 회전하며 비행한다.

이 때문에 촬영을 해야 할 특정 지역의 촬영 타이밍을 놓치게 되면 다시 촬영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방식이 바로 합성개구레이더 촬영 방식이다.

합성개구레이더는 마이크로파를 지상에 쏘고 나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전파를 수신, 판독하여 지도 형태로 다시 꾸미는 방식이다.

촬영하는 방식이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광학식이 아니라, 구름이나 빗물 등을 투과하여 지상에 도달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어둠이나 구름, 빗방울이나 눈과 같은 악천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때문에 합성개구레이더를 이용하는 위성사진의 경우 군사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때문에 합성개구레이더를 활용하는 위성은 당국에 의해 확인이 거부되기도 한다.

합성개구레이더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위성으로는 미국의 래크로스(Lacrosse)위성과 오닉스(Onyx)위성이 있는데, 이가운데 래크로

2016년 06월 12일 뉴스 – 정보통신 섹션보기

ZDNet Korea

  1. LGU+, 휴가철 맞아 ‘펫 IoT’ 혜택 강화
  2. KT, ‘기가 와이파이 홈‘ 100만 가입자 달성
  3. 케이블TV VOD, CJ E&M 월정액 50% 페이백 이벤트

전자신문

  1. KCL, 산업계 활용도 높은 외부 날씨·일조량 변화 빅데이터 내놨다
  2. 1호 인터넷전문은행은 K뱅크…ICT인력 보강 박차
  3. [미래기업 포커스]웰게이트, 스마트폰으로 한류스타 공연 실시간 서비스
  4. [인터뷰]박인철 광주광산업대표자협의회장
  5. 다산네트웍스, 코레일 백본 스위치 장비 공급
  6. [성현희 기자의 날]20대 국회 개원 연설에 거는 기대
  7. ICT 수출도 8개월 연속 하락…닷컴 버블 붕괴때보다 심각
  8. 성균관대, `선비정신` 갖춘 기업가 키운다..대학 창업 지원 박차
  9. [부음]이명열(코스콤 시장정보업무부 차장)씨 빙모상
  10. LG유플러스 “12만 9000원 펫스테이션을 1000원에 제공”
  11. 국민 월평균 VoD 160분 시청…오락 프로그램 최고
  12. KT `기가 와이파이 홈` 100만 돌파
  13. SK텔레콤 스마트홈, 힐스테이트 동탄에 첫 선
  14. 삼성전자 `♥7 모두의 인생사진전` 개최
  15. 내년 첫 `400조 예산` 전망…10년 만에 씀씀이 160조 커져
  16. [전자캘린더]
  17. 제1회 산업제어시스템 보안 콘퍼런스
  18. 정은보 금융위 부위원장 동남아서 국내사 해외진출 지원
  19. 한국씨티은행, 지역사회 공헌의 날 자원봉사활동 펼쳐
  20. 방통위 `동의의결제` 도입…소비자 구제 빨라진다
  21. 유경준 통계청장, 경제총조사 참여 독려 시장방문
  22. `부실감사` 회계법인 대표, 회계사 자격박탈 추진
  23. 20대 국회 13일 개원, 상임위원장도 확정…朴, 민생 현안 해결 위해 `협치` 강조할 듯
  24. 캠코, 제 1회 어린이 그림대회 개최
  25. KB국민은행, 찾아가는 봉사활동 `광주·희망릴레이`실시
  26. 주식선물 기초자산, LG생활건강 등 37종목 내달 상장
  27. [IT 핫테크]백악기 살던 `거대 턱 개미` 발견
  28. 지자연 제4차 고비공룡탐사 지원단 6월 30일까지 접수
  29. 성과연봉제 확대 도입 100% 달성했지만…갈등 불씨 `곳곳에`
  30. SKT- 현대건설 스마트홈 기반의 지능형 아파트 구현

지디넷

  1. 한화그룹, 복지시설에 태양광 발전설비 무료 지원
  2. 부산시민단체, 모터쇼서 르노삼성차 애용 캠페인 진행
  3. 재규어 코리아, 전국 12곳에 ‘F-PACE’ 체험 카페 운영
  4. 쌍용차, 동호회 평택공장 견학 실시
  5. 르노삼성, 부산 버스커 협회에 후원금 전달
  6. 애플, 맥에도 시리 투입하나?
  7. 현대차그룹 ‘달리기’ MV, 5일 만에 유튜브 100만건 돌파
  8. 삼성 ‘클럽 드 셰프’, ‘뉴욕의 입맛’ 사로잡았다
  9. SK하이닉스, 창의로보올림피아드 발대식 개최
  10. EA, E3 앞서 ‘타이탄폴2’ 티저 공개
  11. 야외용 이색 휴대용 전자레인지 등장
  12. 삼성전자, ‘갤럭시S7 모두의 인생사진전’ 개최
  13. LG전자, 유럽 상업용 세탁기 시장 공략 강화
  14. 휴대폰·반도체·디스플레이 수출액 감소
  15. 블레이드앤소울, 토너먼트 태그매치 4회차 승자 확정
  16. WWDC 공개될 iOS10 어떤 기능 담길까?

한겨레

  1. 장마철엔 제습기 웃고 에어컨 울고?
  2. 강하고 독해진 장마, ‘우중산책’의 계절 생겼나

최종업데이트 : 2016-06-12, 11:23: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