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01월 06일 오늘의 명언

김광석

한동안 뭔가 모르게 자꾸 마음이 무겁고 답답했을 때에요. 그, 뭐, 정말, 그만 살까? 뭐 이런 생각도 하고…그럴때 어차피 그래도 살아가는거 좀 재밌거리 찾고 살아봐야 되지 않겠는가 뭐 이런 생각하면서 만든 노래입니다.’일어나’ 입니다.

처음에는 목표가 아니었습니다.그저 매회 한줄 한줄 정성 들여 쳤지요.그러다보니 1000회 되데요.

젊었을때 많이 사랑하고 많이 이별하세요.방황과 고민은 젊음의 특권이니까요.

저는 평생 이등병이거든요.6개월 다녀왔습니다.남들은 뭐 다들 다 잘 갔다오고들 그러는데 왜 저만 못갔다오나 싶기도…하진 않았어요.왜냐하면 큰형님이 군에서 돌아가셨어요.그래서 제가 혜택을 받게 되었는데..늘 이 노래(이등병의 편지) 부르기 전에 부르고 이러면은 저 국민학교 5학년때 형님이 군대가셨었는데 훈련소에서 누런봉투에 입고 갔던 그 옷 싸가지고 집에 보내주시더군요.그거 보시면서 우시던 어머니 생각나고 그럽니다.건강하게 정말로 열심히 군생활 하시는 것이 어떻게 보면 부모님께도 이 나라에도 무한한 도움이 되고 스스로에게도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이런 사람이 또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 그가 썼던 노래들, 그리고 행적들은 정말 기이하기까지 해. 개인적인 관계에서 보면 좋은 사람이지. 그러나 시대가 만든 사람이라 보기에는 정말 아까운 사람이야. 음악적인 면에서 본다면 그가 가지는 입장을 넘어선 사람이라고. 시대를 담아내고 아픔을 담아내고 그려내면서도 열려있는 사람이지.

이등병의 편지를 처음 들은 것은 1990년 겨레의 노래 공연 준비할 때이다.처음 이곡을 부를 때는 어머님과 돌아가신 큰 형님이 생각이 났었다. 국민학교 5학년때 11살 차이 나던 큰 형님이 군대에 가셨다.일주일쯤 지난 후에 누런 봉투에 쌓여 형님이 입고 가셨던 옷가지들이 집으로 배달되었고, 어머님께서 빨래하시며 우시던 모습이 생각났고, 1980년 10월, 결혼식을 20일 남겨두고 돌아가신 큰 형님 생각이 났다.’이등병의 편지’는 나의 훈련소 시절 생각보다는 어머님, 형님 생각에 노래를 부르면서도 울먹거린 적이 여러번 있었다.형님 돌아가신 후로 김치맛이 변할 정도로 맘 상하신 어머님께선 요즈음엔 그래도 잘 지내시는 편이다.

얼마 전 월간 <말> 기자와 인터뷰를 한 적이 있었어. 그때 그 기자가 나에게 던진 질문 중에 ‘자신은 과연 의미있는 가수라고 생각하는가’라는 게 있었지. 난 그 질문에 ‘나는 단지 대중 딴따라다’라고 답했어. 난 정말 ‘잘하는 대중딴따라’이고 싶어. 그 이외에는 어떤 큰 의미도 부여하고 싶지 않아.

사회변혁적인 노래를 부르며 다른 사람들의 행동양식에 변화를 가져오도록 노력하는 가수들도 있지. 하지만 나는 내 노래가 다른 사람들의 행동양식에 변화를 가져오게 할 만한 것이라고는 생각하지는 않아. 그럴 자신은 없으니까. 노래는 생각할 거리를 주고 대중의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그 힘을 다한다고 생각해.

민중가요와 대중가요의 구분은 의미가 없다.만약 ‘좋은 노래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주어진다면 좋은 노래란 ‘사는 이야기, 평범하고 솔직한 이야기이다’라고 대답할 거야. (안)치환이와 이야기를 나누다가 그가 대중성 확보를 위한 고민을 하고 있음을 알게 됐어. 왜 치환이는 대중성 확보에 미흡한지를 생각했지. 제3자의 입장에서 바라본다면 그 이유는 일부 사람들의 공감대를 자기의 것으로만 소유하겠다는 이기적인 생각 때문이 아닐까 싶어. 그러한 생각은 단지 당파주의, 편파주의를 형성시킬 뿐이야.

며칠전, 어느 모임에 갔습니다.그 모임에 참가하신 칠순 할머니께서 24년생이라고 하시면서 말씀하시더군요. 비오는 어느날 우산도 없이 장보고 오는 길에 거리에서 흘러나오는 노랫소리에 내리는 비도 잊은 채 서서 들으셨답니다.그 노래가 ‘사랑했지만’ 이라고 하시더군요. 감정은 나이와는 상관없다라고들 하면서도, 할머니나 부모님께서는 날 이해하지 못하실거라고무의식중에 단정짓고 잘 이야기하지도 않는 것이 우리들 모습이지요. 저 또한 많은 반성을 하게 되었습니다.한동안 저 개인적으로는 이 노래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시도하지도 않고 그저 멀리서 바라만보는 수동적인 태도가 맘에 들지 않았거든요.하지만 이제는 그 할머니의 잊었던 감정을 되살려준 노래이기에 조금 더 열심히 부르고 좋아하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너무 아픈 사랑은…’ 은 류근이라는 글 써 먹고 사는 괜찮은 사람이 가사를 쓰고 김광석이 곡을 썼지요.사랑은 이런것이다라고 말할 순 없지만, 사랑은 많은 부분 인정해야하고 사랑은 많은 것을 얻기도 잃기도 하는 것아픔으로 더욱 사랑하게 되고, 아픔으로 더욱 괴로운 것. 뭐 이런게 사랑이 아닐런지… 아프지 않은 사랑이란 없다는 것이지요.아픔없는 생이 없듯이… 사랑의 상처로 인해 마음의 문을 닫아버린 사람들일수록, 너무 아픈 사랑은 사랑이 아니라고 우기고 싶겠지만,사실은 너무 사랑했기 때문에 부정하고 싶은 심정인 것이지요.

내가 부른 노래들 중에 썩 자신이 없는 노래가 여러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경우 내 생각이 잘못된 것 아닌가 하는 불안이 생겨. ‘거리에서’ ‘사랑했지만’ ‘기다려줘’ 등이 그런 노래들이지. 이제는 이 노래들이 일반 대중가요와 다를 바 없는 평범한 사랑이야기라고 해서 결코 무시할 것은 아니라고 생각해. 중요한 것은 이들 노래가 대중들의 공감을 얻었다는 것이고, 다른 의미있는 노래들을 접할 기회도 제공했다는 거야.

나는 가수다.가수는 노래꾼이다.노래로 밥먹고 잠자고 꿈꾸며 살아간다.이게 직업이다.나는 무슨 자기 소개서 같은 것을 쓰면 직업란에 가수라고 쓴다.내가 가수라고 내세울 만큼 내 직업에 충실해야 하지 않겠는가?

89년쯤으로 기억된다. 마표대교를 건너는 중 버스에서 흘러나오는 노래가 절절해서 나도 모르는 새에 눈가가 촉촉히 젖어왔다.김목경씨의 ‘어느60대 노부부 이야기’라는 노래였다.’다시 부르기 2집’에 이 노래를 담기로 했다.녹음에 들어가서, 가사 중간의 ‘막내아들 대학시험’이라는 대목에 이르기만 하면 이상하게 목이 매여와 녹음을 진행할 수가 ㅇ벗었다.몇번인가 시도를 했지만 마찬가지였다.결국 술먹고 노래를 불렀다.녹음 중에 술을 먹어서는 안되는 것이지만 이 노래만큼은 어쩔 수가 없었다. 음주녹음이라고나 할까?음주녹음에 대한 단속은 없어서 다행이다.

(정)태춘이형은 소박하고 깨끗하다순수쪽으로 애쓰다가 갑자기 민중성의 이야기를 하겠다고 하면서 자신의 폭을 좁히지 않았나 싶어. 민중의 아픔들을 이슈화시켜 운동권 사람들의 호응을 얻기 위한 것인지, 아니면 자신의 노래가 너무 미지근하다고 느꼈는지 확실치는 않아. 그 이전까지 태춘이형은 섬뜩한 직접적인 표현들을 아주 시적인 언어로서 제대로 걸러서 잘 표현했다고. 그런데 이제 그러한 직접적인 표현들을 하겠다고 하니 그만큼 형의 활동범위는 줄어들었다고 생각해.

(안)치환이는 80년대 서정적인 운동가요로 출발했어. 크게 보면 70년대 초에 ‘아침이슬’이 있었다면 80년대에는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가 있다고 생각해.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는 바로 치환이의 노래야. 그의 가슴으로 담아낸 노래라고. 하지만 이후 노래들이 그가 느낀 그 감정을 그대로 담고 있었는지 궁금해. 대중성을 확보하는 문제에서 애매모호한 입장을 보였다고 생각해.”

시어도어 루스벨트

오직 한가지 우리가 두려워해야 할 일은 두려움 그 자체다.

2016년 01월 06일 오늘의 역사

사건

1540년
영국 국왕 헨리 8세, 클래브스의 앤과 네 번째 결혼.
1907년
이탈리아의 교육자 마리아 몬테소리가 ‘어린이의 집’을 설립.
1912년
뉴멕시코 주가 미국의 47번째 주가 되었다.
1941년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네 가지 자유에 대한 연두교서를 발표.
1980년
사무엘 도가 라이베리아 대통령의 임기를 시작했다.
2000년
대한민국 프로야구의 전라북도 연고팀 쌍방울 레이더스가 해체.

출생

1412년
프랑스의 백년 전쟁 영웅 잔 다르크.
1822년
독일의 고고학자 하인리히 슐리만.
1850년
독일의 사회주의자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1909년
한국의 문인 박태원.
1913년
폴란드의 정치인 에드바르트 기에레크.
1916년
대한민국의 시인 박목월.
1917년
대한민국의 정치깡패 이정재.
1922년
대한민국의 정치인 유기정.
1924년
대한민국의 15대 대통령 김대중.
1929년
아프간의 정치인 바브락 카르말.
1933년
대한민국의 시인 이형기.
1939년
우크라이나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발레리 로바놉스키.
1944년
북한의 축구 선수 박리섭.
1945년
대한민국의 배우 박인환.
1946년
독일의 전 축구 선수 베른트 횔첸바인.
1953년
독일의 전 축구 선수 만프레트 칼츠.
1976년
대한민국의 쇼트트랙선수 전이경.
1979년
대한민국의 배우 정소영.
1980년
대한민국의 배우 박시은.
1983년
대한민국의 가수 미쓰라진.

사망

1829년
체코의 소설가 요세프 도브로프스키.
1852년
프랑스의 점자 창안자 루이 브라유.
1884년
오스트리아의 생물학자 그레고르 요한 멘델.
1918년
독일의 수학자 게오르크 칸토어.
1919년
미국의 26대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
1996년
대한민국의 가수 김광석.
1996년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병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