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도 삼육보건대학교 대학경쟁력

2015년도 삼육보건대학교 대학경쟁력

재학생충원율

학생정원 재학생수 학생모집정지인원 재학생충원율 대학평균
1130 1289 0 114.1 107.3

더 많은 재학생충원율 대학경쟁력 보기

신입생충원율

정원내 모집인원 정원내 입학자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대학평균
420 420 100 99.0

더 많은 신입생충원율 대학경쟁력 보기

전임교원확보율

학생현황(학생정원) 교원접정정원(학생정원) 전임교원 전임교원확보율(학생정원기준) 대학평균
1130 56 39 69.64 62.3

더 많은 전임교원확보율 대학경쟁력 보기

전임교원연구 실적

전임교원/전임교원 한국연구재단등재지(후보포함) [지표아이디:57]SCI/SCOPUS학술지 [지표아이디:58] 전임교원1인당논문실적(한국연구재단등재지[후보포함]) [지표아이디:57]전임교원1인당논문실적(SCI급/SCOPUS학술지) [지표아이디:58] 대학평균
1130 1289 114.1 107.3

더 많은 전임교원연구 실적 대학경쟁력 보기

중도탈락 학생비율

재적학생 중도탈락학생 중도탈락 학생률 대학평균
1472 81 5.5 7.2

더 많은 중도탈락 학생비율 대학경쟁력 보기

더 많은 대학경쟁력 보기

출처 : 공공데이터포탈

위성 편대 비행 SFF(Satellite Formation Flying)

위성편대비행 SFF(Satellite Formation Flying)는 말 그대로 위성들이 편대를 지어 비행하는 것을 지칭하는 단어로 미래의 우주 탐사나 지구의 환경을 조사하는 위성 운용에 많이 사용될 것으로 예측되는 위성 운영 방식이다.

현재의 인공위성 제작 추세를 보면 복잡 다양하고 정밀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점점 중, 대형화되어 가고 있으며 고사양의 장비가 탑재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제작할 경우 위성체의 크기는 점점 대형화되기 때문에 제작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며 이렇게 무겁게 제작된 위성을 우주 궤도에 안착시킬 추진로켓의 운영 비용도 급상승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비용을 많이 들어 발사했더라도 위성체가 정상 궤도에 진입하지 못했던가 고장으로 인해 기능 일부에 문제가 발생 되면 해당 위성체를 통한 탐사 자체가 매우 제한되거나 임무를 포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지구 궤도상의 위성체라면 우주 왕복선을 통해 일부 수리가 가능하겠지만 지구를 벗어난 심우주 탐사 시 이런 문제가 발생한다면 거액의 탐사 비용이 한순간 모두 날아가 버릴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이런 위험을 분산시키고자 개발된 것이 바로 위성 편대 비행, 즉 SFF 다.

위성 편대 비행은 여러 기능을 가진 중대형의 인공위성을 각각의 기능을 가진 소형 위성체로 분리한 다음 여러 개의 소 위성체가 특정 편대를 이루며 탐사를 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진행하면 인공위성들이 소형화되기 때문에 발사 비용도 줄일 수 있으며 한 대의 위성체가 고장 나더라도 다른 소 위성으로 일부 보완이 가능하기 때문에 한 대로 이루어진 위성체보다 안전성이나 임무 성공률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국내나 외국에서는 미래 우주 탐사 방식 또는 심우주 탐사 계획에 사용할 수 있는 SFF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