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02월 21일 뉴스 – 정보통신 섹션보기

다음뉴스

  1. LG 야심작 ‘G5 ‘써보니.. ‘스마트폰판 합체로봇’
  2. [MWC 2016]미리 써본 LG G5, ‘카메라 모듈 붙이니 DSLR급’
  3. LG스마트폰 ‘판도라’ G5, 뭐가 달라졌나?
  4. 5G·가상현실·커넥티드 카..MWC 파워 트렌드
  5. [MWC 2016] 부활 신호탄 쏜 LG전자, 역대 최강 ‘G5’ 공개..”3월 말 출시될 듯” (종합)
  6. [MWC 2016] ‘100% 조준호폰’ LG전자, G5로 ‘승부수’..”LG 팬덤 문화 만들겠다” (2보)
  7. [MWC 2016] 애플은 올해도 불참..3월 자체행사에서 보급형 제품 선보일 듯
  8. 의료계도 ‘3D 시대’..수술 부위 모형 만들어 정확도 높여
  9. IT 기반시설 긴급 보안점검, 개인이 주의해야 할 점은?
  10. “7100억 쓴 감염병 바이러스 연구 ‘부처 칸막이’ 막혀 무용지물”
  11. 트럼프 “애플 승복할 때까지 삼성 휴대폰만 쓰겠다”
  12. VR·증강현실.. ‘ICT 게임체인저’ 글로벌무대 대격돌
  13. [MWC 22일 개막]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 이끌자” 첨단 혁신기술 총출동
  14. [MWC 22일 개막] ‘정면승부’ 삼성-LG, 처음 같은날 공개
  15. [MWC 22일 개막] 글로벌 ICT 저명인사 한자리에 모인다
  16. [이슈분석]북한의 사이버테러 능력은
  17. 외연 넓히는 O2O업계..이용자·수익 모두 잡는다
  18. [이슈분석]3.20 사이버테러 3년..긴장감 최고조
  19. 방준혁 넷마블게임즈 의장, 주식부호 ‘2조클럽’ 가입 눈앞
  20. S7 출전 앞둔 삼성, 갤럭시S 진화의 여정
  21. [MWC 2016] ‘모바일 월드컵’ 30회 맞았다..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이유는
  22. 은행법 개정 무산에 추가 지분 확보 KT·카카오 ‘전전긍긍’
  23. ‘바닷물도 굿’..방수 IT기기 잇따라 출격

최종업데이트 : 2016-02-21, 11:48:26 오후

생각처럼 쉽지 않은 우주로켓 발사

우리보다 먼저 우주개발을 시작한 우주선진국들중에도 기술적인 결함으로 로켓 발사를 실패한 사례는 손으로 꼽을 수 없을 만큼 많다.

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미국(자유진영)과 구소련(공산진영)의 냉전체제 속에 시작된 초장기 우주개발은 실패의 연속이었고, 미국과 구소련(지금의 러시아)은 실패속에서도 실패의 원인을 분석하고 보완하여 지금의 우주선진국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1957년, 미국과 구소련의 초창기 우주개발이 한창일 당시, 미국은 구소련의 최초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호’ 발사 소식을 듣게 된다.

이에 미국은 무너진 자존심을 회복하기 위해 개발이 완료되지 않은 ‘바이킹로켓’을 기반으로 한 ‘뱅가드(Vanguard)로켓’을 재빠르게 제작하게 된다.

하지만, 당시 미 해군이 개발하던 ‘바이킹로켓’은 인공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총 6단계의 테스트와 개발과정을 거쳐야 했지만, 미국은 재빠르게 구소련을 따라잡겠다는 욕심으로 2단계까지만 진행된 ‘바이킹로켓’을 개량하여 우주로 쏘아 올릴 준비를 하게 된다.

결국 미국 최초 우주로켓의 발사 결과는 발사대에서 1.5m도 이륙하지 못하고, 점화 2초 만에 발사대에서 폭발하게 되었고, 당시 3단으로 제작되었던 로켓은 겨우 1단 로켓만을 운용하는데 성공했을 뿐이었다.

기술적 결함으로 인한 실패 사례는 이 외에도 많은데, 실패를 할 경우 막대한 개발 비용이 물거품이 되는 아픔도 있지만, 귀중한 인명이 희생되는 안타까운 경우도 있다.

1965년 ‘손다 1형’ 소형로켓 개발에서부터 시작한 브라질의 우주개발은 1984년 ‘손다 4형’ 로켓 발사에 이르게 된다.

이후, 인공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VLS(Velculo Lancador de Satelites)를 개발하여 1997년과 1999년 그리고 2003년 3차례에 걸쳐 발사하였지만, 비행 도중 폭발 또는 로켓이 발사대에서 이륙하지 못한 채, 발사대에서 폭발하는 사고를 겪게 된다.

특히 2003년, 로켓 발사 3일을 앞두고 발사대에서 폭발한 VLS 3호 로켓의 경우, 로켓 과학자 21명의 생명을 앗아갔는데, 이는 브라질의 우주 로켓 관련 고급 기술자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숫자로 이 사고로 인해 브라질은 4~5년 우주개발에 있어 기술적 후퇴를 맞이하게 되었다.

나중에 이 사고의 원인은 4개의 메인 모터 가운데 한 개가 예정보다 일찍 점화되면서 발생된 사고로 밝혀졌고, 이는 최종 단계에서의 기술 점검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고 있다.

기술적으로 완벽하다 하더라도 당일 기상상태로 인해 실패한 사례도 있다.

바로 우주왕복선 챌린저호의 비극적 폭발 사고다.

1986년 1월 28일 챌린저호는 발사후 73초 만에 폭발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바로 연료의 누출을 막기 위한 얇은 O-링의 결함 때문이었다.

연료 누출을 막는 O-링은 영상 11도 이하의 날씨에서 우주선을 발사할 경우 연료 누출을 막는 역할을 하는데, 당시 영하의 날씨에서 이 O-링이 제대로 작동을 못하고 결국 연료 누출로 폭발하게 된 것이다.

이처럼 우주발사체, 즉 로켓의 발사는 우리보다 앞서 출발한 우주 선진국에서 조차 성공하기까지의 많은 실패와 도전의 역사를 겪었다.

이 때문에 발사 전, 기술적인 사소한 문제나 기상 상황에도 주의하며 위험의 소지가 발견되면 그 경중에 상관없이 그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기까지 연기를 하게 된다.

‘나로호(KSLV-I)’도 안전하고 성공적인 발사를 위한 최종 점검이 완벽하게 끝나고 난 후, 비로소 본격적인 발사에 도전할 수 있다.